영주시 과수화상병 ‘개화기 방제’로 선제 차단 총력

사과·배 농가 대상 집중 약제 살포…예찰·예방 체계도 강화

등록 :2025-04-10

변봉성기자

본문

1beb2cb2b940c97c92d3c7d781e66c0f_1744244811_3436.jpg
[영주시]-영주시는 과수화상병의 확산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고 사과
·배 재배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25년 과수화상병 개화기 약제 방제 작업을 철저히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지난 321일까지 국··시비 등 총 2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과수화상병 방제약제 5종을 관내 사과3,500농가에 무상 공급했다. 또한, 개화 전 1, 개화기 2, 생육기 2회 등 총 5회에 걸친 약제 살포를 농가에서 철저히 실천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과수화상병은 꽃이 피는 시기인 개화기에 감염이 집중되는 세균성 병해로, 국내 과수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는 주요 재해 중 하나다. 이에 따라 영주시는 개화기 전후를 방제의 핵심 시기로 보고, 관내 농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시는 농촌진흥청 방제 지침에 따라 개화기 중 2회에 걸쳐 집중 방제를 실시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살균제를 사전에 공급하고, 농가에 방제 요령과 일정이 담긴 안내문도 배포했다.

 

개화기 방제에 사용하는 항생제는 꽃이 피기 시작할 무렵부터 전체 꽃의 약 40%가 개화했을 때 1차로 살포하고, 이후 5일 뒤 동일한 항생제를 2차로 추가 살포해야 한다.

 

영주시 관계자는 과수화상병은 한 번 발생하면 방제가 어렵고 피해 규모가 크기 때문에, 예방 중심의 철저한 방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농가에서는 권장 약제를 사용해 개화기 방제 시기를 놓치지 말고 반드시 살포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방제 후에는 약제 살포 일지 작성과 방제 사진 기록 등 증빙 자료를 반드시 준비해야 하며, 이는 향후 과수화상병 발생 시 책임 방제여부를 입증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영주시는 이번 개화기 방제 외에도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대응책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농가 교육과 전염원인인 월동궤양 제거, 예방 실천사항 안내 외에도, 전문 예찰요원을 선발하여 의심지역에 대한 현장 및 전화 예찰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관내 10개 읍··동에 기상관측장비를 설치하고, 과수화상병 예측시스템을 도입하여 농가에 감염 위험 시기와 약제 살포 적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법률고문 권기준 변호사
054-856-7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