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물자 전력화 지연만 84건, 방위사업청 사업관리 역량 도마에 올라

등록 :2024-10-08

변봉성기자

본문

89ec55d21c122967f9394053f13552d2_1728352724_1547.jpg
최근 차기 잠수함 구조함
강화도함의 납기 가능 시점이 불투명해져 해군 작전에 지장을 초래한 가운데, 방산업체 대상 발주사업에서 납기 지연에 따른 전력화 지연 사례가 상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차질없는 전력화를 위한 납기일 준수가 방위사업의 대원칙인만큼 주무부처인 방위사업청의 사업관리 역량도 도마에 올랐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임종득 의원(경북 영주시영양군봉화군)이 방위사업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에서 발주한 무기체계 사업 중 납기 지연으로 인한 전력화 지연 사례가 84건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평균 전력화 지연일은 약 7개월이며 최대 5년까지 전력화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장 많은 지연 건수가 발생한 A업체의 평균 납기 지연일은 약 4개월로 총 10건의 납기 지연 사례가 발생했고 9건의 납기 지연 사례로 뒤이은 Q업체의 평균 납기 지연일은 약 11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 기업 측은 원자재 수급 실패, 생산 설비 부족, 근로 인력 파업,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시험평가 불합격 등 생산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납기 지연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정부는 수주기업에 지체상금을 부과한다. 실례로 2년 이상 납기 지연이 발생한 기업의 경우 2,000억원이 넘는 지체상금이 부과됐으며 6개월 이상 납기 지연이 발생한 기업의 경우 1,000억원이 넘는 지체상금을 부과받았다.

 

정부 측 귀책 사유도 있다. 시제품의 시험 평가를 위해 정부가 평가 장소를 제공해야 하나 장소 섭외가 안된 경우, 완성품 운반을 위해 관급장비를 제공해야 하나 장비 조달이 지연된 경우, 함정이나 전차 등 시험평가를 위한 플랫폼 제공이 지연된 경우, 정부에서 진행해야 할 행정 처리가 지연된 경우다.

 

납기 지연에 따른 방위사업청의 처분 방식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납기 지연에 따른 처분내역을 살펴보면 지체상금 부과 이외에는 별다른 처분 내역이 없다. 지체상금은 납기 지연일 수 기준으로 일괄 부과된다. 이에 업체들은 개별 소송을 통해 감경 사유를 인정받을 경우 납부한 지체상금을 환급받고 있어 지체상금 외에도 막대한 소송 비용으로 인한 이중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납기일 준수를 위해선 지체상금 부과 전 심의위원회를 거쳐 납기일 지연이 발생한 경위를 충분히 밝히고 불가피한 지체 사유는 사전 감경하되 귀책 사유가 반복되거나 고의성이 발견될 경우 지체상금 외 별도 제재 수단을 마련하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는 견해도 뒤따랐다.

 

임종득 의원은전력화 지연은 곧 국방력 손실로 이어짐은 물론 세계로 뻗어가야할 K-방산 해외 수출의 발목을 잡는 행위라며정부 귀책 사유로 사업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 점검을 철저히 함은 물론 사업 발주시 수주 업체의 역량을 꼼꼼하게 파악해 전력화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업관리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했다.

법률고문 권기준 변호사
054-856-7373